목록Selector (2)
판봉 개발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kuRsx/btrbVsFwwPV/GMxWSt90eTujMfeso09nn0/img.png)
Selector 이번에는 browser의 selector 즉 선택자에 대해서 알아볼겁니다. 저번시간에 배웠던 것을 이용하면 가까기에 붙어있는 요소들만 접근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지는 않습니다. 웹 페이지 내에서 원하는 요소 노드에 대해 바로 접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getElemenet와 querySelector입니다. Element 요소에 id 속성이 있다면 위치에 상관없이 저 메서드를 이용하여 접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께선 저것 말고 두번째로 말씀드린 querySelector를 이용하라고 하십니다. querySelector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말 그대로 "querySelector"와 "querySelectorAll"이죠 이 두가지의 차이점은 단어에서 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GgRW/btracO98rAQ/DjPkwnBZV9CW8rf9lyAuE1/img.png)
오늘은 드디어 CSS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그중에 CSS 선택자는 "Selector"라고도 하는데 셀렉터라고 읽으면 됩니다. 선택자를 쓰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1 { color:red; } 선택자 { 속성 : 값} 이라는 뜻이죠. 즉, h1태그에 color라는 색깔 속성에 값이 빨간색이 되도록 하라는 겁니다. 참고로 color는 글자색입니다.(주의할 점 : 배경색이 아님) 스타일 속성을 넣는 위치는 다양하게 있는데 보통 보편적으로 태그 사이에 넣습니다. 참고로 영문자p만 쓰고 엔터를 치게 되면 자동으로 가 입력됩니다. 꿀팁이니 알아두세요! 선택자 중에 "*"도 있는데 이것은 모든 요소를 선택합니다. 주로 프로젝트 초기에 세팅이 됩니다. 그리고 스타일을 넣을 때 전에 배웠던 id도 선택자도 쓸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