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산기 (2)
판봉 개발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SRGR/btrcgPy1Xk0/y1PVBoyMY7dhPAM3ELE0F1/img.png)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오늘 시험을 보고왔습니다. 비전공자 공부 방법 : 시나공 필기 책, cbt 기출문제 공부 기간 : 1달정도 하루 공부 시간 : 1~3시간 사이 북부직업전문학교라는 곳에서 시험을 봤는데 다행히 아버지가 차로 태워주셔서 약 40분?정도 시간이 걸린것 같습니다 (필자는 부천에 서식중...) 이름이 [학교]가 붙어서 학교의 이미지를 생각했는데 건물 안에 있는 거더라구요 학원같은 느낌? 앞에는 벤치가 있는데 거기서 사람들이 다 기다렸습니다. 시국이 시국인지라.. 가채점 결과는 다행히 턱걸이로 합격을 했습니다. 주위에 시험을 본사람들을 알아보니 역시나 이번 시험이 좀 어려운 편이었던것 같네요 이번 3회차 시험은 21년도의 마지막 필기시험이었는데 22년도부터 아예 과정이 확 바뀐다고 하니까 좀 문제..
해싱의 개요 해싱은 Hash Table이라는 기억공간을 할당하고,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레코드 키에 대한 Hash Table 내의 Home Address를 계산한 뒤 주어진 레코드를 해당 기억장소에 저장하거나 검색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해싱은 DMA(직접 접근) 파일을 구성할 때 사용되며, 접근 속도는 빠르나 기억공간이 많이 요구됨 다른 방식에 비해 검색 속도가 가장 빠르다 삽입, 삭제 작업의 빈도가 많을때 유리한 방식 키-주소 변환 방법 해시 테이블(Hash Table, 해시표) 해시 테이블은 레코드를 한 개 이상 보관할 수 있는 Bucket들로 구성된 기억공간으로 보조기억장치에 구성도 되고 주기억 장치에도 구성이 가능함 버킷 : 하나의 주소를 갖는 파일의 한 구역이며 크기는 같은 주소에 포함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