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QL (4)
판봉 개발 일기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개요 1974년 IBM 연구소에서 개발한 SEQUEL에서 유래 국제표준 데이터베이스 언어이며, 많은 회사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를 지원하는 언어로 채택중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을 기초로 한 혼합 데이터 질의어지만 질의 기능만 있는게 아니고 데이터 구조의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제어기능을 갖추고있음. *질의어 : 사용자들이 쉽게 DB를 통해서 이용할수있게 하는 비절차어의 일종 SQL의 분류 DDL(데이터 정의어) DDL(Data Define Language)은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때 사용하는 언어 논리적 데이터 구조와 물리적 데이터 구조의 사상을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
관계형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l)의 개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로, 계층 모델과 망 모델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 시킨 모델 2차원적인 표(Table)를 이용해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DB구조를 말하는데, 파일 구조 처럼 구성한 테이블들을 하나의 DB로 묶어서 테이블 내에 있는 속성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거나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이용함 기본키(Primary Key)와 이를 참조하는 외래키(Foreign Key)로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함. 대표적인 언어는 SQL입니다. 1:1, 1:N, M:N 관계를 자유롭게 표현이 가능함 E-R 모델을 관계 모델의 테이블로 변환 다음은 개체 A, B와 관계 Y로 이루어진 E-R 모델을 관계 테이블로 변환을 하는 방법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언어(Database Language)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이용하기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의 통신수단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언어는 DBMS를 통해 사용하고 기능과 사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 정의, 조작, 제어 언어로 구분이 됩니다. 데이터 정의 언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DDL)는 DB 구조, 데이터 형식, 접근 방식 등 DB를 구축하거나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 데이터 정의 언어는 번역한 결과가 데이터 사전이라는 특별한 파일에 여러개의 테이블로 저장 데이터 정의 언어의 기능 외부 스키마 명세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논리,물리적 구조 및 구조간의 사상 정의 스키마에 사용되는 제약 조건에 대한 명세를 정의 데이터의 물리적 순서를 규정 데이터 조작 언어..
스키마의 정의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Specification)를 기술(Description)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이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및 데이터 조작시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정의한다.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나누어진다. 스키마의 특징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에 저장되며, 다른 이름으로 메타데이터라고도한다. 스키마는 현실 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서 만들어진다. 스키마는 시간에 따라 불변이다 스키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