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판봉 개발 일기
인덱스 구조 본문
728x90
인덱스의 개념
인덱스는 데이터 레코드를 빠르게 접근하기위해 구성하는 것입니다.
-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적 구조와 관계가 있습니다.
- 레코드가 저장된 물리적 구조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 인덱스를 통해 파일의 레코드에 대한 액세스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 레코드의 삽입과 삭제가 수시로 일어나면 인덱스의 개수를 줄이는게 좋습니다.
m-원 검색 트리(m-way Search Tree)
- 한 노드가 최대 m-1개의 키와 m개의 Subtree를 갖도록 구성됨
- 키 값의 일부분이 동일한 문자열이나 숫자로 구성된 자료를 표현하는데 좋음
- 트리 높이가 얕아져 특정 노드의 검색 시간이 감소됨
- 삽입, 삭제 시 트리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연산이 필요합니다.
B-트리의 특징
Index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균형된 m원 검색트리입니다.
- Root와 Leaf(단말)을 제외한 노드들을 최소 m/2, 최대 m개의 Subtree를 갖습니다.
- Root는 Leaf가 아닌 이상 적어도 두개의 Subtree를 가집니다. 즉 처음부터 분기해야합니다.
- 모든 Leaf는 같은 Level입니다.
- Leaf가 아닌 노드의 키 값 수는 그 노드의 Subtree 수보다 한개 적고, 각 단말노드의 수는 최소 m/2에 한개를 뺀것과 최대 m-1개의 키값을 가집니다.
- 한 노드 안에 있는 키 값들은 오름차순을 유지해야합니다.
- 탐색, 추가 삭제 는 루트로부터 시작합니다.
- 삽입과 삭제를 해도 데이터 구조를 유지 해야합니다.
'정보처리산업기사 >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정보처리산업기사 3회 필기 내용[합격?불합격?] (0) | 2021.08.15 |
---|---|
검색-해싱(Hashing) (0) | 2021.08.09 |
정보처리산업기사-검색(Search) (0) | 2021.08.08 |
내부 정렬 (0) | 2021.08.07 |
정렬(Sort)의 개요 (0) | 2021.08.06 |